분류 전체보기(37)
-
[NLP] 임베딩 테이블이란?
1. 임베딩 테이블"단어를 숫자로 잘 표현한 테이블" 이 제일 좋은 정의인 것 같다.근데 정의만 가지고는 아무것도 손에 잡히지 않는다. 예시로 알아보자. 2. 예시이 세상에는 딱 3개의 단어밖에 없다. 나, 아기, 강아지.이 세 단어를 숫자로 잘 표현해서 테이블로 정리해보는 것이 목표다. 나는 1999년 10월 9일에 태어났다(TMI). 그래서 나는 1999로, 아기는 10으로 강아지는 9로 표현해봤다.이러한 방식으로도 임베딩 테이블을 만들어도 괜찮다. 그러나 단어를 숫자로 잘 표현한 테이블이 맞나?? "잘" 이라는 단어가 조금 걸린다.숫자를 무작위로 할당해주는 거 보다는 의미를 담아야 하지 않을까? 이제는 한 단어를 숫자 두개로 표현한다.첫번째 숫자는 사람인가? 라는 질문에 맞으면 1, 아..
2024.06.15 -
[네트워크]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그리고 기본 게이트웨이
1. IP 주소- 인터넷 공간에서 나(컴퓨터, 스마트폰, 패드)를 가리키는 이름- xxx.xxx.xxx.xxx 형태 (0 ~ 255임) 1-1. 공인IP와 사설IP 그리고 루프백 주소나는 여러가지로 나타나진다. 주민등록번호, 부모님에게는 "아들", 친구에게는 "성호", 그리고 나에게는 "나". 누구든 주민등록번호로 나를 부르면 내가 대답할 것이다. 그러나, 부모님이 아닌 사람이 "아들" 이라고 하면 나는 대답하지 않을 것이다. 아마도 나를 부르는 게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위의 예시에서 주민등록번호는 공인IP, "아들", "성호"는 사설IP, 그리고 "나" 는 루프백 주소를 의미한다. - 인터넷 상에서 내 컴퓨터를 가리키는 고유한 IP 주소- 당연히 공인IP는 인터넷 전체에서 유일하다. - 하나의 네트..
2024.06.03 -
JAVA 정리
[기본적인 것들]package com.lgcns.test;import java.io.BufferedReader;import java.io.FileInputStream;import java.io.FileNotFoundException;import java.io.FileOutputStream;import java.io.FileReader;import java.io.FileWriter;import java.io.IOException;import java.io.InputStream;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import java.io.OutputStream;import java.io.Writer;import java.nio.charset.StandardCharsets;import..
2024.05.14 -
[Mysql] 'The server quit without updating PID file (/opt/homebrew/var/mysql/SIsa-eobtim-ui-MacBookPro.local.pid)' 에러 해결
[이유] PID file을 업데이트 하지 않고 서버가 닫힌 경우에 나는 에러입니다. [해결책] ps -ef | grep mysql kill -9 [1번 줄에 의해 검색된 프로세스들의 PID들] 이렇게 한 후 mysql.server start 하면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2024.04.04 -
[2023 KAKAO BLIND RECRUITMENT] 표현 가능한 이진트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50367?language=python3 1. 문제 이해 입력으로 숫자(1 0101111 --> 0을 1개 붙여주어야 길이가 7 = 2^3 - 1이 된다.) 3. 얻어진 앞에 0이 붙은 이진수 문자열은 포화이진트리를 LUR 순으로 순회한 결과와 같다. -> 이진트리를 왼, 가운데, 오 순으로 순회 2. 문제 풀이 "이진트리 만드는 과정" 을 따라가면 앞에 0이 붙은 이진수 문자열을 얻을 수 있다. 해당 문자열로 이진트리가 만들어지는 지 여부는 재귀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아래의 생각을 따라가보자. 0101111로 만들어진 트리는 루트 노드의 값(인덱스 3의 값)이 1이므로 해당 가지에서 양쪽에 모두 ..
2023.11.11 -
[수학] 왜도 (skewness)
1. 왜도? 분포의 비대칭도를 나타내는 수. 대칭적 분포(ex. 정규분포)의 왜도는 0이다. 오른쪽으로 치우쳐진 분포는 왜도가 양수, 왼쪽으로 치우쳐진 분포는 왜도가 음수이다. 2. 어떻게 계산되는거지? n : 데이터 개수 x_i : 현재 데이터의 값 x : 데이터들의 평균 s : 데이터들의 표준편차 즉, 왜도는 third standardized moment (3차 표준 모멘트)로 정의되어 있다. 3. pandas의 skew함수 python의 유명한 데이터처리 모듈인 pandas에서는 왜도를 계산하는 매서드를 기본 제공한다. 그런데 이상한 점은 위의 공식의 계산과 다른 결과를 내놓는다. skew_manual이라는 함수를 새롭게 정의하였으며, 이는 위의 언급된 공식으로 skewness를 계산한 결과를 반환..
2023.09.30